1 |
국가정보학. 정보사회론 오리엔테이션 |
0:44:44 |
▶ |
2 |
테마01. 기록과 기록관리의 원칙 |
1:05:47 |
▶ |
3 |
테마02. 전자기록 테마03. 디지털 기록매체(1) |
0:52:44 |
|
4 |
테마03. 디지털 기록매체(2) |
0:51:48 |
|
5 |
테마04. 컴퓨터와 정보(1) |
0:43:56 |
|
6 |
테마04. 컴퓨터와 정보(2)~ 테마05. 정보의 의미와 특성(1) |
0:51:50 |
|
7 |
테마05. 정보의 의미와 특성(2) |
0:57:28 |
|
8 |
테마05. 정보의 의미와 특성(3) |
0:31:20 |
|
9 |
테마06. 정보의 법적 개념 |
0:53:15 |
|
10 |
테마07. 정보의 가치와 유형 |
1:04:46 |
|
11 |
테마08. 정보경제이론 테마09. 메타데이터와 더블린 코어(1) |
0:45:09 |
|
12 |
테마09. 메타데이터와 더블린 코어(2) |
0:46:28 |
|
13 |
테마10. MARC와 MODS~ 테마11. Metadata Registry |
0:58:41 |
|
14 |
테마12. W3C와 RDF~ 테마13. 온톨로지(1) |
0:56:35 |
|
15 |
테마13. 온톨로지(2)~ 테마15. 시맨틱 웹(1) |
0:58:50 |
|
16 |
테마15. 시맨틱 웹(2)~ 테마16. 데이터의 구성단위 |
0:57:02 |
|
17 |
테마17. 데이터 베이스 ~ 테마19. 모든 것이 데이터가 되는 빅데이터 시대의 이해(1) |
1:04:18 |
|
18 |
테마19. 모든 것이 데이터가 되는 빅데이터 시대의 이해(2) |
0:42:57 |
|
19 |
테마19. 모든 것이 데이터가 되는 빅데이터 시대의 이해(3) 테마20. 빅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인신론적 과제(1) |
1:04:44 |
|
20 |
테마20. 빅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인신론적 과제(2) |
0:39:24 |
|
21 |
테마22. 데이터 패브릭 ~ 테마23. 공공데이터 VI오픈데이터포럼 |
0:54:08 |
|
22 |
테마24. 정보사회를 바라보는 관점(1) |
0:57:57 |
|
23 |
테마24. 정보사회를 바라보는 관점(2) ~ 테마25. 정보사회의 특징과 가치 |
1:08:16 |
|
24 |
테마26. 지식과 지식사회(1) |
0:39:13 |
|
25 |
테마26. 지식과 지식사회(2) ~ 테마29. 미디어 사회 또는 커뮤니케이션 사회(1) |
1:08:34 |
|
26 |
테마29. 미디어 사회 또는 커뮤니케이션 사회(2) ~ 테마30. 체험사회 |
0:51:56 |
|
27 |
테마31. Anthony Giddens의 구조화 이론과 시공간론(1) |
0:50:08 |
|
28 |
테마31. Anthony Giddens의 구조화 이론과 시공간론(2) ~ 테마32. 위험사회(1) |
0:52:49 |
|
29 |
테마32. 위험사회(2) ~ 테마33. 위험과 성찰선(1) |
0:57:14 |
|
30 |
테마33. 위험과 성찰선(2) |
0:57:40 |
|
31 |
테마33. 위험과 성찰선(3) |
1:03:31 |
|
32 |
테마33. 위험과 성찰선(3) ~ 테마34. 액체 근대론과 성찰적 근대화론 비교 |
0:46:18 |
|
33 |
테마35. 통신망 사회 ~ 테마36. 얀 판데이크의 네트워크 사회(1) |
0:48:24 |
|
34 |
테마36. 얀 판데이크의 네트워크 사회(2) ~ 테마37. 정보사회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사회 |
1:05:52 |
|
35 |
테마38. 정보사회 담론 ~ 테마39. 기술철학의 주요 이론(1) |
0:55:59 |
|
36 |
테마39. 기술철학의 주요 이론(2) |
0:52:48 |
|
37 |
테마40. 매스미디어와 사회 변동의 관계(1) |
0:59:56 |
|
38 |
테마40. 매스미디어와 사회 변동의 관계(2) 테마41. 포털과 권력(1) |
0:55:38 |
|
39 |
테마41. 포털과 권력(2) 테마42. 정보기술과 사회변동(1) |
1:08:32 |
|
40 |
테마42. 정보기술과 사회변동(2) 테마43. 사회체제의 연속성 여부(1) |
0:34:22 |
|
41 |
테마43. 사회체제의 연속성 여부(2) |
0:55:00 |
|
42 |
테마44. 탈산업사회론(1) |
1:04:40 |
|
43 |
테마44. 탈산업사회론(2) |
0:55:19 |
|
44 |
테마45. 정보자본론(1) |
0:46:01 |
|
45 |
테마45. 정보자본론(2) 테마46. 조절이론(1) |
1:09:32 |
|
46 |
테마46. 조절이론(2) |
1:00:47 |
|
47 |
테마46. 조절이론(3) |
0:43:33 |
|
48 |
테마46. 조절이론(4) 테마47. 노동과정(1) |
0:59:30 |
|
49 |
테마47. 노동과정(2) ~ 테마48. 공공영역론(1) |
0:58:20 |
|
50 |
테마48. 공공영역론(2) ~ 테마49. 공공영역 정보서비스(1) |
0:54:16 |
|
51 |
테마49. 공공영역 정보서비스(2) ~ 테마50. 카스텔(1) |
1:07:49 |
|
52 |
테마50. 카스텔(2) |
0:35:09 |
|
53 |
테마50. 카스텔(3) |
0:55:02 |
|
54 |
테마50. 카스텔(4) |
1:12:11 |
|
55 |
테마51. 탈근대론(1) |
1:01:56 |
|
56 |
테마51. 탈근대론(2) |
0:42:53 |
|
57 |
테마51. 탈근대론(3) |
1:01:31 |
|
58 |
테마52. 레오타르의 지식과 정보의 상대주의 |
0:59:32 |
|
59 |
테마55.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
0:53:53 |
|
60 |
테마57.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편향성(1) |
0:53:41 |
|
61 |
테마57.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편향성(2) 테마58. 현대 매체이론에서 문자의 개념과 역할(1) |
1:07:20 |
|
62 |
테마58. 현대 매체이론에서 문자의 개념과 역할(2) |
0:54:10 |
|
63 |
테마58. 현대 매체이론에서 문자의 개념과 역할(3) |
1:18:54 |
|
64 |
테마58. 현대 매체이론에서 문자의 개념과 역할(4) |
0:40:05 |
|
65 |
테마60. 탈문자시대의 영상문화에 관한 담론 연구(1) |
1:02:10 |
|
66 |
테마60. 탈문자시대의 영상문화에 관한 담론 연구(2) |
0:56:32 |
|
67 |
테마60. 탈문자시대의 영상문화에 관한 담론 연구(3) ~ 테마62. 정보사회에서 인간의 연결과 고립(1) |
0:55:34 |
|
68 |
테마62. 정보사회에서 인간의 연결과 고립(2) |
0:40:55 |
|
69 |
테마63. 소셜 미디어에서의 자기 전시주의 ~ 테마64. 익명성과 다중정체성(1) |
0:54:11 |
|
70 |
테마64. 익명성과 다중정체성(2) ~ 테마66. 뉴미디어의 재매개론(1) |
0:48:45 |
|
71 |
테마66. 뉴미디어의 재매개론(2)~ 테마69.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의 인간 |
1:17:10 |
|
72 |
테마70. 원격현전 |
0:43:44 |
|
73 |
테마71. 메타버스 ~ 테마73. 인터넷 방송(1) |
1:10:47 |
|
74 |
테마73. 인터넷 방송(2) ~ 테마76. 소셜미디어의 이해 |
0:51:31 |
|
75 |
테마77. Telegram Messenger 테마78. 인터넷(1) |
0:52:14 |
|
76 |
테마78. 인터넷(2) |
0:51:05 |
|
77 |
테마78. 인터넷(3) 테마79. 월드와이드웹(1) |
0:57:18 |
|
78 |
테마79. 월드와이드웹(2) 테마80. 컴퓨터 네트워크 |
0:50:27 |
|
79 |
테마81. 통신 프로토콜 ~ 테마83 파레토법칙과 롱테일 법칙 |
1:19:52 |
|
80 |
테마84.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 |
0:34:31 |
|
81 |
테마85. 가상공동체 |
1:00:03 |
|
82 |
테마88. 플레이밍 |
0:50:43 |
|
83 |
테마91. 부르디외의 사회적 자본 개념 비판 |
1:10:54 |
|
84 |
테마93. 디지털 시민성(1) |
0:40:26 |
|
85 |
테마93. 디지털 시민성(2) ~ 테마94. 집단지성 형성의 세 가지 차원(1) |
0:49:07 |
|
86 |
테마94. 집단지성 형성의 세 가지 차원(2) ~ 테마95. 집단지성과 반전문가주의 |
1:07:11 |
|
87 |
테마96. 위키피디아의 권위와 신뢰성 ~ 테마97. GNU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1) |
1:03:08 |
|
88 |
테마97. GNU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2) ~ 테마98. 오픈 액세스 |
0:23:30 |
|
89 |
테마99. 공유의 비극을 넘어(Ostrom)(1) |
1:02:27 |
|
90 |
테마99. 공유의 비극을 넘어(Ostrom)(2) |
1:05:14 |
|
91 |
테마100. 공유경제의 이론과 실체 테마101. 공유 경제와 구독 경제 |
0:53:28 |
|
92 |
테마102. 현대 자본주의와 동료 생산 |
0:54:56 |
|
93 |
테마103. 동료 생산의 조직 테마104. 동료 생산의 분기 |
0:49:33 |
|
94 |
테마105. 플랫폼과 지적 재산권 테마106. 디지털 플랫폼 경제(1) |
1:09:53 |
|
95 |
테마106. 디지털 플랫폼 경제(2) 테마107. 플랫폼 자본주의(1) |
1:03:13 |
|
96 |
테마107. 플랫폼 자본주의(2) 테마108. 이윤의 지대되기와 정동 엔클로저(1) |
0:54:11 |
|
97 |
테마108. 이윤의 지대되기와 정동 엔클로저(2) 테마109. 알고리즘. 독점지대. 과세 |
1:02:01 |
|
98 |
테마110. 거대 플랫폼기업의 독점 규제 테마111. 지적재산권의 안전피난처(1) |
0:52:46 |
|
99 |
테마111. 지적재산권의 안전피난처(2) 테마112. 자유 무료노동 무료제공. 사적전유(1) |
1:05:04 |
|
100 |
테마112. 자유 무료노동 무료제공. 사적전유(2) |
1:02:16 |
|
101 |
테마113. 클라우드 컴퓨팅[중심화된 웹] (1) |
0:52:20 |
|
102 |
테마113. 클라우드 컴퓨팅[중심화된 웹] (2) ~ 테마114. 탈중심화하는 웹(피투피 네트워킹) |
1:05:53 |
|
103 |
테마115. 피투피 파일 공유와 지적 재산권 ~ 테마116. 해시테이블 |
1:00:26 |
|
104 |
테마117. 피투피 공개 열쇠 암호화와 프라이버시 ~ 테마118. 피투피 암호화폐와 자유노동 |
1:01:22 |
|
105 |
테마119. 정보화 ~ 테마121. 국가정보화 |
1:01:22 |
|
106 |
테마122. 개인생활의 변화 ~ 테마124. 전자정부(1) |
0:56:01 |
|
107 |
테마124. 전자정부(2) |
0:43:19 |
|
108 |
테마124. 전자정부(3) 테마125. 전자정부법 |
0:45:00 |
|
109 |
테마126. 전자 민주주의 |
0:46:32 |
|
110 |
테마127. 전자적 공공영역과 e-거버넌스 ~ 테마128. 기업 조직의 변화(1) |
1:06:16 |
|
111 |
테마128. 기업 조직의 변화(2) ~ 테마130. 노동 및 소비의 변화(1) |
1:04:10 |
|
112 |
테마130. 노동 및 소비의 변화(2) 테마131. 정보격자 |
0:44:41 |
|
113 |
테마131. 정보격차 테마132. 정보과잉 |
0:41:59 |
|
114 |
테마133. 프라이버시 침해와 감시사회(1) |
0:53:18 |
|
115 |
테마133. 프라이버시 침해와 감시사회(2) 테마134. 스몰 시스터 |
0:43:04 |
|
116 |
테마135. 사이버 범죄 테마136. 개인정보 침해 |
0:44:09 |
|
117 |
테마137. 잊힐 권리 ~ 테마139. 정보 보호의 목표 |
0:51:54 |
|
118 |
테마140. 정보시스템의 불법침입~ 테마142. 명예훼손 및 유언비어. 허위사실 유포 |
1:03:22 |
|
119 |
테마143. 가짜뉴스와 팩트체크 |
0:55:29 |
|
120 |
테마144. 전자상거래 테마145 전자문서교환 |
0:41:49 |
|
121 |
테마146. 광속상거래 테마149. 전자지불 시스템(1) |
0:56:50 |
|
122 |
테마149. 전자지불 시스템(2) 테마151. 개인정보 보호 |
1:00:29 |
|
123 |
테마152. 데이터 3법 개정의 주요 내용과 전망(1) |
1:11:51 |
|
124 |
테마152. 데이터 3법 개정의 주요 내용과 전망(2) 테마154. 디지털 증거 수집 및 처리 등에 관한 규칙 |
0:43:09 |
|
125 |
테마155. 저작권 |
0:57:04 |
|
126 |
테마156. 지적재산권 관련 국제기구 ~ 테마158. NFT |
1:03:34 |
|
127 |
테마159. 폰노이만 구조 테마160. 컴퓨터의 구성과 동작(1) |
0:58:47 |
|
128 |
테마160. 컴퓨터의 구성과 동작(2) |
0:58:00 |
|
129 |
테마161. HCI 테마162. 벤야민 사상에서 기술의 의미 |
0:53:27 |
|
130 |
테마163. 벤야민의 수공적 복제와 기술적 복제 테마164. 시몽동의 인간-기계 관계 설정과 정서적 감동 |
1:08:36 |
|
131 |
테마165. 들뢰즈와 과타리의 인간-기계 관계 설정과 공명. 정동(1) |
1:01:15 |
|
132 |
테마165. 들뢰즈와 과타리의 인간-기계 관계 설정과 공명. 정동(2) 테마166 정동의 장치와 주체화 |
1:11:43 |
|
133 |
테마167. 포스트휴먼 담론의 지형과 문제설정 ~ 테마169. 포스트휴먼 감수성(1) |
1:05:00 |
|
134 |
테마169. 포스트휴먼 감수성(2) |
0:48:56 |
|
135 |
테마169. 포스트휴먼 감수성(3) ~ 테마170. 인간을 넘어선 인간(1) |
1:13:03 |
|
136 |
테마170. 인간을 넘어선 인간(2) ~ 테마171. 행위자-네트워크이론 |
0:59:15 |
|
137 |
테마172. 4차 산업혁명(1) |
1:03:03 |
|
138 |
테마172. 4차 산업혁명(2) ~ 테마173.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한계(1) |
0:59:22 |
|
139 |
테마173.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한계(2) |
0:56:20 |
|
140 |
테마173.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한계(3) ~ 테마174. 인공신경망(1) |
1:01:43 |
|
141 |
테마175. 인공신경망(2) ~ 테마176. 딥러닝 소개 및 주요 이슈(1) |
0:51:24 |
|
142 |
테마176. 딥러닝 소개 및 주요 이슈(2) |
0:58:57 |
|
143 |
테마176. 딥러닝 소개 및 주요 이슈(3) |
0:42:26 |
|
144 |
테마176. 딥러닝 소개 및 주요 이슈(4) |
0:54:10 |
|
145 |
테마176. 딥러닝 소개 및 주요이슈(5) |
1:00:48 |
|
146 |
테마177. 전이학습 ~ 테마179. 자연어 처리(1) |
0:36:00 |
|
147 |
테마179. 자연어 처리(2) |
0:53:23 |
|
148 |
테마180.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의 변화 테마181. 인공지능과 윤리(1) |
1:00:17 |
|
149 |
테마181. 인공지능과 윤리(2) 테마182. 블록체인(1) |
0:56:58 |
|
150 |
테마182. 블록체인(2) ~ 테마184. 비트코인(1) |
0:54:25 |
|
151 |
테마184. 비트코인(2) ~ 테마186. 사물인터넷(1) |
0:59:58 |
|
152 |
테마186. 사물인터넷(2) ~ 테마187. 양자와 양자컴퓨터의 기본원리(1) |
0:58:22 |
|
153 |
테마187. 양자와 양자컴퓨터의 기본원리(2) ~ 테마188. 5G서비스 |
0:57:11 |
|
1 |
테마01. 기록과 기록관리의 원칙 ~ 테마05. 정보의 의미와 특성(1) |
0:55:00 |
▶ |
2 |
테마05. 정보의 의미와 특성(2) ~ 테마07. 정보경제이론 |
0:56:12 |
|
3 |
테마08. 메타데이터와 더블린 코어 ~ 테마14. 시멘틱 웹(1) |
1:05:23 |
|
4 |
테마14. 시멘틱 웹(2) ~ 테마19. 빅데이터(1) |
0:52:46 |
|
5 |
테마19. 빅데이터(2) ~ 테마24. 지식과 지식사회(1) |
0:57:20 |
|
6 |
테마24. 지식과 지식사회(2) ~ 테마30. 위험과 성찰성 |
0:54:09 |
|
7 |
테마31. 통신망 사회 ~ 테마34. 기술철학의 주요 이론(1) |
0:50:41 |
|
8 |
테마34. 기술철학의 주요 이론(2) ~ 테마38. 앨빈 토필러 |
0:55:33 |
|
9 |
테마39. 다니엘 벨 |
0:59:53 |
|
10 |
테마40. 정보자본론 ~ 테마43. 노동과정 |
0:49:45 |
|
11 |
테마44. 공공영역론 테마45. 카스텔(1) |
1:03:19 |
|
12 |
테마45. 카스텔(2) 테마46. 탈근대론 |
0:55:33 |
|
13 |
테마47. 뉴미디어의 확산 ~ 테마53. 현대 매체이론에서 문자의 개념과 역할(1) |
1:01:27 |
|
14 |
테마53. 현대 매체이론에서 문자의 개념과 역할(2) ~ 테마56. 비릴리오(1) |
0:44:50 |
|
15 |
테마56. 비릴리오(2) ~ 테마61. 소셜 미디어에서의 자기 전시주의(1) |
0:57:13 |
|
16 |
테마61. 소셜 미디어에서의 자기 전시주의(2) ~ 테마63. 비매개와 하이퍼매개 |
0:53:12 |
|
17 |
테마64.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 테마74. 인터넷(1) |
0:58:28 |
|
18 |
테마74. 인터넷(2) ~ 테마75. 월드 와이드 웹 |
1:00:43 |
|
19 |
테마76. 컴퓨터 네트워크 ~ 테마84. 사회적 자본(1) |
1:08:48 |
|
20 |
테마84. 사회적 자본(2) ~ 테마86. 네트워크 사회운동론 |
0:43:08 |
|
21 |
테마87. 디지털 시민성 ~ 테마89. 집단 지성 형성의 세가지 차원(1) |
0:50:01 |
|
22 |
테마89. 집단 지성 형성의 세가지 차원(2) ~ 테마97. 제레미 리프킨 |
1:01:22 |
|
23 |
테마98. 공유경제와 구독경제 ~ 테마103. 디지털 플랫폼 경제(1) |
0:55:32 |
|
24 |
테마103. 디지털 플랫폼 경제(2) ~ 테마105. 알고리즘. 독점지대. 과세(1) |
0:54:50 |
|
25 |
테마105. 알고리즘. 독점지대. 과세(2) ~ 테마 110. 클라우드컴퓨팅 |
0:48:36 |
|
26 |
테마.111 서버-클라이언트 네트워크 ~ 테마 120. 전자정부(1) |
1:03:37 |
|
27 |
테마120. 전자정부(1) ~ 테마123. 전자적 공공영역과 e-거버넌스 |
0:53:24 |
|
28 |
테마124. 기업조직의 변화 ~ 테마127. 정보격차(1) |
0:35:07 |
|
29 |
테마127. 정보격차(2) ~ 테마129. 프라이버시 침해와 감시사회(1) |
0:42:50 |
|
30 |
테마129. 프라이버시 침해와 감시사회(2) ~ 테마133. 개인정보침해 |
0:45:39 |
|
31 |
테마134. 잊힐권리 ~ 테마139. 명예훼손 및 유언비어 허위사실유포(1) |
0:44:22 |
|
32 |
테마139. 명예훼손 및 유언비어 허위사실유포(2) ~ 테마148. 전자서명 |
0:48:28 |
|
33 |
테마149. 개인정보보호 ~ 테마155. 지적재산권 관련 국제기구 |
0:46:23 |
|
34 |
테마156. DLP와 DRM ~ 테마166. 시몽동의인간 |
0:58:07 |
|
35 |
테마167. 돌뢰즈와 과타리의 인간 ~ 테마171. 인간을 넘어선 인간 |
0:57:32 |
|
36 |
테마172. 행위자네트워크이론 ~ 테마175. 인공지능의가능성과한계(1) |
0:53:06 |
|
37 |
테마175. 인공지능의가능성과한계(2) ~ 테마177. 딥러닝소개 및 주요이슈(1) |
0:48:01 |
|
38 |
테마177. 딥러닝소개 및 주요이슈(2) |
0:53:45 |
|
39 |
테마178. 전이학습 ~ 테마183. 블록체인(1) |
1:01:35 |
|
40 |
테마183. 블록체인(2) ~ 테마186. 이더리움 |
0:55:37 |
|
41 |
테마187. 사물인터넷 ~ 테마189. 5G 서비스 |
0:47:20 |
|
42 |
테마190. 미네르바 스쿨 ~ 테마199. 학자와 저서(1) |
0:59:42 |
|
43 |
테마199. 학자와 저서(2) |
0:56:23 |
|
44 |
테마199. 학자와 저서(3) ~ 테마200. 정보사회 관련용어(1) |
0:45:36 |
|
45 |
테마200. 정보사회 관련용어(2) ~ 테마201. COVID-19 관련이슈 |
1:02:4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