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군무원특별과정

CLOSE

[군무원] - 합격후기

육군 군사정보 7급 군무원 합격후기

  • 군 : 육군
  • 직렬 : 정보7급
  • 수험번호 : 90****4
  • 작성자 : 최** (jiy****)
  • 등록일 : 2024-10-21

육군 군사정보 7급 군무원 합격후기

2022.12-2023.7 필기 탈락
국어 80 국가정보학 64 정보사회론 48 심리학 96 평균 72 (커트라인 73)
2023. 12.-2024.7 최종합격
국어 72 국가정보학 84 정보사회론 76 심리학 76 평균 77 (커트라인 66)

저는 첫 번째 필기 시험에는 커트라인 1점 차이로 떨어졌습니다. 그 당시에 너무 속상했고 다시 시험을 보기에는 매우 두려웠습니다.
하지만 마지막이다! 한 번만 더 해보자는 생각을 가지고 도전했습니다.

2022.12-2023.7
국어-신민숙
국정학-대장부 김민곤+한희원 교재
정사론-하이클래스 이동훈 강의 1회독, 이기론 교재 1회독+대장부 곽재호 교재 1회독
심리학-대장부 고금정

2023.12-2024.07
국어-신민숙
국정학-하이클래스 이동훈 강의 1회독+ 국정학 이기론 문제집 다수 회독 +대장부 김민곤 교재 +한희원 교재 다수 회독
정사론-하이클래스 이동훈 강의는 듣지 않고 이기론 본교재를 다수 회독, 조윤희 문제풀이 교재 1회
심리학-작년 강의 들었던 것을 바탕으로 혼자 공부+서은영 선생님께 모르는 것 질문


■국어 (72)
국어는 첫번째 필기 준비때보다 시간을 쏟아붓지 못했습니다. 사실 어법 부분이 강의를 듣지 않아도 기억이 났고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 소홀히 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문학 부분이 저의 취약점이었기 때문에 많은 문학작품을 보려고 노력했습니다. 선재국어 기출실록으로 강의 듣지 않고 혼자 (문학,어법,비문학) 문제를 풀어나갔습니다. 기출실록은 공무원뿐만 아니라 군무원 기출까지 정리가 되어 있고 해설도 잘 되어 있어서 혼자 풀기에 좋습니다.
그리고 저는 신민숙 어법 강의를 재밌게 잘 수강했습니다. 선생님의 재치 있는 말씀과 재밌는 예시는 지루한 어법 공식에 조금의 흥미를 붙여줍니다. 하지만 문학 부분에서는 내용이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딱 알짜? 핵심 작품을 알려주는 느낌입니다. 추가로 문학을 공부하시는 분들은 선재, 문정호 선생님 강의를 수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한자 같은 경우도 해커스 한자성어300을 활용해 이 책에 있는 것만이라도 외우자 했고 실제로 한자성어 300개만 알아도 그 내에서 문제가 출제되는 것 같습니다.

■국정학 (84)
저는 첫 시험에는 대장부 김민곤 선생님 수업을 들었습니다. 국정학에 대한 흥미가 생길 수 있었고 잘 가르쳐주셨지만 2023년 7급 시험에서는 전웅 교수님 교재 위주로 문제가 출제되었고 처음 보는 내용들이 있었습니다. 첫 시험준비는 꼼꼼하게 하지 못한 게 실패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첫 필기 탈락 이후 저는 이동훈 선생님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너무 두꺼운 교재에 고민했지만 다른 방법은 없다는 생각이 들어 강의를 들었습니다. 먼저 국기론 교재, 국기론 문제집을 구매했고 강의 1회독을 하였습니다. 저는 강의를 두 번 듣지는 않았습니다. 첫 번째 시험을 대비해서 어느 정도 국정학의 흐름과 내용을 알아 한 번만 듣는 것이 시간상으로 낫다고 생각했습니다. 강의 1회독 후 국기론 문제집 풀이를 진행했습니다. 기화펜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한번 풀고 그 중 애매하게 아는 것을 체크하고 또 풀고, 그중 진짜 모르겠다 싶은 것 또 풀고, 꼭 기억해야 하는 것 풀고 했습니다. 어떤 문제는 끝까지 헷갈려서 5번 정도 풀었습니다. 그렇게 체크하면서 문제를 푸니 시험 치기 전에는 자신감도 생겼습니다. 내가 모르는 걸 마지막으로 다시 풀어보니 제대로 확인을 한 느낌? 이었습니다. 그리고 면접 한 달 전에 국정학 기출 문제를 모두 풀어 모르는 건 교재를 확인해 가며 풀었습니다.
그리고 김민곤 선생님 교재는 국기론 교재와 더블 체크하기에 용이했고 어느 부분에서는 한눈에 보기에 정리가 잘 되어 있어 참고하였습니다. (국기론-논문과 교재가 정리되어 있는 줄글 형식이라면 김민곤 선생님은 줄글보다는 정리가 되어 있어 각자 장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전웅, 한희원 교재 모두 가지고 있었지만, 줄글 형태인 전웅 책은 국기론에 다 있는 내용이라고 동훈 선생님이 말씀해주셔서 한희원 책만 여러 번 보았습니다. *한희원 내용도 국기론에 있지만 한희원 교재는 줄글 형식보다 한눈에 보기 쉬운 형태로 있기에 가끔 리프레시하는 마음으로 보았습니다)

■정사론 (76)
첫 필기 때 동훈 선생님 강의를 신청해서 들었는데 너무 길고 강의 수가 많아 힘들게 1회독 하였습니다. 그래도 저 나름대로 혼자 이기론보며 회독을 2회 했고, 곽재호 선생님 교재도 참고하여 시험을 보았지만 결과가 좋지 못했습니다. 두 번째 필기 준비를 하며 다른 학원 강의를 듣기엔 선택지도 없어서 하클 동훈 선생님 강의를 또 한번 보았습니다. 저는 모르는 부분만 다시 강의를 들었습니다. 강의 듣는 것에 시간 투자를 하지 않았습니다. (교재는 2023년 교재를 그대로 사용했고 새로 추가된 목차를 올려주셨기 때문에 공부하는 데에 문제 없었습니다. 새로 추가된 목차만 강의를 집중하며 들었습니다.)
정사론에 많은 시간을 들이는 것은 좋은 방법은 아니라고 생각하여 저 혼자 이기론 회독을 4회독 정도 하였습니다. 책에 책갈피를 해두고 문제 풀다가 궁금한 게 있으면 바로바로 보았습니다. 책이 다 찢어져서 너덜너덜해졌습니다. 테이프로 덕지덕지 붙여서 다녔는데 그런 걸 보면서 열심히 봤구나.. 싶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2023년도 이기론 문제집도 가지고는 있었지만 풀지 않았습니다. 시험 한 달 전에는 이동훈 선생님 카페에 2019년부터 정사론 기출이 있는데 7/9급 다 풀면서 모르는 건 이기론 보면서 이해하고 넘어갔습니다.
이건 필수는 아니지만 조윤희 문제풀이 책이 있습니다. 그건 꼼꼼히 풀고 넘어갈 게 아니라 휘리릭 풀고 이런 내용이 있구나! 정도로 보고 넘겼습니다.

■심리학 (76)
첫 필기 때는 대장부에서 고금정 선생님 강의를 들었습니다. 첫 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받아서 얼떨떨했지만 그만큼 강의를 재밌게 듣고 제대로 이해했던 것 같습니다. 평소에 오은영 박사님의 금쪽같은 내새끼, ebs에서 방영하는 다큐 등을 즐겨본 게 심리학 배울 때 가끔씩 나와서 재밌었습니다. 두 번째 시험에서는 고금정 선생님 교재를 계속 회독하고 국가직, 군무원 심리학 기출을 풀었습니다. 서은영 선생님의 기출 풀이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한 것이 생기면 질문을 남겼고 친절히 알려주셔서 도움이 되었습니다. 제가 시간적 여유가 되었다면 서은영 선생님 강의를 들었을 것입니다. 그만큼 꼼꼼한 내용과 어찌 보면 방대하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심리학 고득점을 위해서는 자세히 알아서 나쁠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시간이 부족하여 강의 듣는 시간보다 스스로 공부했던 시간을 늘렸습니다. 10월, 11월부터 공부하시는 분들은 많은 양의 강의도 괜찮습니다. 제가 심리학에서 고득점을 받지는 못했지만 강의 커리큘럼대로 따라간다면 고득점할 수 있는 과목 같습니다!

■필기
국어-심리학-국정학-정사론 순서로 풀었습니다. 생각보다 국어에서 시간을 잡아 먹었고 평소에 비문학을 빠르고 정확하게 푸는 연습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부분은 저의 미흡한 부분이었습니다. 그 다음으로 심리학을 풀었는데 생각보다 모르는 개념(텔로미어)이 나왔습니다. 심리학은 내년은 어떨지 몰라도 점점 방대한 범위에서 나온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국정학은 시사적인 부분이 나왔고 평소 뉴스를 보고 정세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 유리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물론 제가 공부했던 교재에서도 어느정도 출제 되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모르는 부분은 오래 잡고 있지 않고 6667 로 안 나온 번호로 밀었습니다. 정사론도 마찬가지 입니다. 모르는 문제는 6667로 밀고 나갔습니다. 필기시험에는 내가 모르는 것은 다른 분들도 모를 수 있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시험장에서 대범하게 움직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모르겠는 것은 넘어가고 아는 문제를 정확히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면접
처음 군무원 면접을 보는 거라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이 안 왔습니다. 그래서 대장부 오프라인 학원을 다니면서 오프라인 공통스터디 1개, 온라인 전공스터디 1개 했습니다.
군무원 면접을 처음 보신다면 각자 직렬에 전문적인 학원에 다니는 것이 마음이 편할 수 있습니다. 000에서 전공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고 저는 서울이 아닌 지방에 거주했기 때문에 이곳에서 면접 준비를 했습니다. 기본적인 예절과 답변의 방향을 알려주고 그 안에서 저는 저만의 진정성 있는 답변을 만들었습니다. 저는 스터디는 매우 도움이 된다고 확신합니다. 다양한 직렬의 분들과 만나서 공통된 인성 질문을 준비했고 자신만의 강점이 들어간 답변을 들어보고 또 서로 피드백을 해줄 수 있습니다. 같은 직렬인 전공 스터디는 무엇이 나올지 모르는 전공 질문에 대한 대비를 확실히 할 수 있습니다. 내 답만 말해보는 게 아니라 다른 분의 좋은 답을 듣고 그게 자연스럽게 체화되어 면접 당일 예상치 못한 질문에 답이 툭! 튀어나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답에 추가되어 더 좋은 방향으로 생각하고 답할 수 있기 때문에 전공 스터디도 추천입니다. 면접 전날까지 모의 면접을 해주었던 스터디원들도 너무 감사했습니다. 함께 했던 스터디원들 모두 합격하여 행복했습니다.

저는 지자체에서 대여해주는 정장을 빌렸고 메이크업, 헤어을 혼자 하였습니다. 유튜브에 면접 메이크업, 헤어 검색하고 따라했습니다. 헤어 스프레이, 꼬리빗, 머리망을 했고 최대한 단정히 보이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리고 스터디하면서 미소를 지었으면 좋겠다는 피드백을 많이 들었기 때문에 당일에 살짝 미소를 띄며 면접에 임했습니다. 면접장에 가면 안내해 주시는 분들이 친절히 다 알려주시기 때문에 어떻게 해야 할지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육군은 종이 울리면 입장을 하면 되고 문이 무겁기 때문에 조심히 문을 닫고 저는 가벼운 목례, 의자 옆에서 인사하고 앉았습니다. 면접이 다 끝난 뒤 퇴장을 할 때도 가벼운 인사와 문을 끝까지 조심스럽게 닫았습니다. 면접은 면접관이 나를 평가한다는 생각보다 대화하면서 나를 보여주는 자리다라고 생각했습니다. 이 말처럼 잘되진 않지만 가벼운 생각들로 긴장을 풀려고 노력했습니다.


자기소개
정보첩보 차이
정보수집별로 종류
신호정보 단점
메뉴얼에 없는 업무
Ai 단점
왜 군무원 직렬 많은데 왜 정보직렬
군사정보 뭐하는지 아는가?
격오지?
단점은 군무원에서 어떻게
마지막 할말


■총 후기
필기를 볼 때 국어, 심리학, 국정학, 정사론 순서로 풀었습니다. 국어에서 너무 많은 시간을 뺏기고 심리학에서도 처음 보는 내용이 있어 당황했고,, 국정학에서는 처음 본 시사적인 내용이 나와 세 번째로 당황했습니다. 정신을 차리고 동훈 선생님이 말씀해주신 6667 을 사용해서 국정학 정사론의 모르는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이 방법 도움 많이 된 것 같아요)시험을 치고 나서 결과가 안좋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포기하고 있었습니다. 다행히 필기에서 좋은 결과가 나왔고 면접 준비를 열심히 했습니다. 제가 3년 동안 앞만 보고 달려오고 뭔가를 이뤄냈다는 게 저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끝까지 도전하고 포기 하지 않는 열정을 가진다면 원하는 꿈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강사님들과 도움을 주셨던 분들 모두에게 감사하다는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